Featured Post

Thursday, June 4, 2015

우리 집은 얼마나 잘 살까?

잘 사는 집, 못 사는 집을 구분할 때 흔히 수입이 얼마냐로 결정하게 된다. 나라의 경우는 GDP (Gross Domestic Product; 국내 총 생산) 를 바탕으로 하고. 하지만 오직 수입이나 총생산만을 가지고 한 가정의, 혹은 한 나라의 '잘 사는 정도'를 평가하기에는 뭔가 부족함이 있다.

이러한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몇 년 전 '사회 발전 지수' (Social Progress Index) 라는 것이 만들어졌다. Basic Human Needs, Foundations of Wellbeing, 그리고 Opportunity- 이 세 분야에 대한 각 나라의 만족도를 종합해 그 나라의 발전 정도를 측정하는 것이다. 첫번째 '기본적 욕구' 카테고리에서는, 영양 공급을 비롯해 기본적인 의료 제도가 얼마나 잘 되어 있는지, 위생및 안전 상태는 어떤지 등이 고려되고, 두번째 '복지' 면에선 교육의 기회, 정보 전달 시스템, 건강, 환경 보호 등이 얼마나 잘 되어 있는지를 기준으로 삼는다고 한다. 세번째 '기회' 카테고리에서는, 인권, 선택의 자유를 비롯한 자유, 사회적 포용력, 그리고 고등 교육의 기회 등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.      

 2013년부터 매년 각 나라의 지수가 발표되고 있다. 첫 해인 2013년에는 50개 나라의 지수만 발표되었었는데, 2014년과 2015년엔 그 수가 많이 늘어서 전 세계 국가 중 133개국의 지수가 발표되었다. 2015년 1위는 Norway. 한국은 29위를 차지했고, 미국은 16위. 이 순위에서도 볼 수 있듯이 국가 수입과 이 지수가 어느 정도 상관관계가 있기는 하지만 꼭 함께 가는 것은 아니다. 한국보다 GDP가 낮은 나라가 한국에 비해 높은 순위를 받기도 했고, 반대로 한국보다 GDP가 높은 국가가 이 순위에서는 한국에 뒤지기도 한다.

이 지수는 나라뿐만 아니라 내가 사는 지역사회, 혹은 내가 일하는 직장이나 우리 집의 '잘 사는 정도'가 얼마나 될까를 평가하는 지수로도 이용될 수 있다. 단지 물질적인 성취도뿐 아니라, 생활의 편리함과 안전함, 성장의 기회, 자유로운 의사 소통이 얼마나 이뤄지고 있는지를 함께 감안해 삶의 질을 평가하는 것이다.  

*아래 TED website에 가면, Michael Green이 이 사회 발전 지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는 비디오를 볼 수 있다 (참고로 이 비디오에서 보여주는 국가별 순위는 2014년 자료임):
http://www.ted.com/talks/michael_green_what_the_social_progress_index_can_reveal_about_your_country#t-667141

*2015년 사회 발전 지수 국가별 순위:
http://www.socialprogressimperative.org/data/spi#data_table/countries/spi/dim1,dim2,dim3


No comments:

Post a Comment